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교육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소개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는 조선후기 차 문화 중흥조인 초의선사로부터 이어져 온 제다법과 차의 품격을 보존하고, 이를 시대에 맞게 계승하고 발전시켜 한국 차 문화의 융성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다 및 차 이론을 겸비한 전문연구자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반인들에게 우수한 차 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든 강의는 박동춘 소장이 직접 진행하고 있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 연구소 연구원들은 질 높은 강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강의는 매 3월과 9월에 시작되며, 모집공고 및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블로그와 SNS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차 문화사 이해
1,000년에 걸쳐 형성된 한국차 문화의 역사와 그 특징을 공부하는 수업입니다. 차를 즐긴 역사 속 24명의 인물들과 그들이 남긴 문예활동을 통해서 한국 차 문화가 어떻게 발전해가고, 그 과정에서 한국 차가 갖는 고유한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중국차 문화사 이해
8세기 이후, 시대별로 다양한 차 문화 양상이 나타난 중국 차 문화사를 공부하는 수업입니다. 시대에 따라 다른 차 문화를 꽃 피우게 된 배경과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나아가 우리 차 문화에도 큰 영향을 끼친 중국 차 문화를 역사적 시대 순서대로 살펴보게 됨으로 차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 다서茶書 읽기
1) 초의선사의 『다신전』
조선후기 차 문화를 중흥시킨 초의선사에 의해 편찬된 『다신전』을 강독하면서 그 내용과 의의를 알아보는 수업입니다. 『다신전』은 명대 장원의 『다록』을 우리의 현실에 맞추어 재편집한 것이지만, 초의 자신의 차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다는 점과 우리나라 최초의 다서인 『동다송』 저술의 실질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하는 다서입니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차 문화의 일단을 보여주는 자료인 『다신전』을 통해서 그 당시 초의선사의 차 이론 정립과정과 차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초의선사의 『동다송』
우리나라 최초의 다서인 『동다송』을 강독하면서 그 내용과 의의를 알아보는 수업입니다. 1838년경 완성된 『동다송』에는 초의선사가 구현하려고 했던 차의 정신과 그 이론적 체계가 담겨져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초의가 복원한 선차인 초의차의 특징뿐 아니라 차를 애호했던 지식인들의 음다飮茶 목적을 살펴볼 수 있고, 나아가 조선후기에 차 문화가 중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외 한재 이목의 『다부』, 박영보의 「남다병서」, 신위의 「남다시병서」 등 교육 프로그램이 추가로 개설될 예정입니다.
중국 다서茶書 읽기
1) 당대 육우의 『다경』
당나라 육우가 저술한 『다경』을 강독하면서 그 내용과 의의를 살펴보는 수업입니다. 육우의 10여년의 노력 끝에 완성된 『다경』은 그 이전에 혼재되어 있던 차에 대한 방대한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된 세계 최초 차 전문서적이며, 중국의 차 문화를 확립하고 발전시킨 기반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경』을 통하여 당나라 차 문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차 문화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고대 차 문화가 바로 이 시기에 유학한 유학생들과 구법승들에 의해 유입되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하며 살펴보고자 합니다.
2) 송대 황유의 『품다요록』
송나라 황유가 저술한 『품다요록(品茶要錄)』을 강독하면서 그 내용과 의의를 살펴보는 수업입니다. 『품다요록』은 11세기 후반에 저술된 차 전문서적으로, 찻잎을 따는 것에서부터 연고차를 만드는 방법까지 차에 대한 총체적인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송나라 차 문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명대 황용덕의 『다설』 등 교육 프로그램이 추가로 개설될 예정입니다.
차 만들기[製茶] 원리의 이해
차는 차 문화를 이루는 핵심요소로서, 좋은 차를 만드는 방법을 터득한 시대에는 풍요로운 차 문화를 이룩할 수 있었습니다. 제다는 차 문화의 본질입니다. 제다에 대해 여러 질문을 던짐으로서, 제다에 대해 폭넓게 살펴보는 수업입니다. 제다의 원리 및 제다의 발달사 등 제다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