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수 |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 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7. 물을 생(生)하는 탕관(湯罐)에 대하여- ‘솔바람 소리’ 나야 제대로 끓인 찻물로 여겨 | 관리자 | 2025-04-21 | 11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 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7. 물을 생(生)하는 탕관(湯罐)에 대하여 - 탕관 제1편 | 관리자 | 2025-04-11 | 24 |
공지 | [법보신문] “차는 수행의 도구, 법보시는 수행의 실천행” | 관리자 | 2025-03-29 | 29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6. 물을 보관하는 저수용기에 대하여 | 관리자 | 2025-03-26 | 36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5. 찻물을 끓이는 화로(火爐)에 대하여 | 관리자 | 2025-03-07 | 54 |
공지 | 2025년 '동춘차' 후원 안내 드립니다. | 관리자 | 2025-03-02 | 80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4. 명대 포다법(泡茶法)과 차도구 | 관리자 | 2025-02-24 | 67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3. 송대 점다법(點茶法)과 차도구 | 관리자 | 2025-02-10 | 60 |
공지 | [개강안내] 2025년 2월 <고려시대 차 문화사> 개강 안내 드립니다. | 관리자 | 2025-02-06 | 55 |
공지 | [법보신문] [송유나의 역사속 차 문화와 차 도구 이야기] 2. 당나라 시대 자다법···유기적 연결 속 조화 | 관리자 | 2025-01-21 |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