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연구소 소개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개

본 연구소는 2001년 설립된 종합학술연구기관이다. 2017년 사단법인으로 설립허가(주무관청: 농림축산식품부)를 받은 후, 조선후기 차 문화의 중흥조인 초의선사로부터 이어져온 제다법과 차의 품격을 보존시키고, 시대에 맞게 계승 · 발전시켜 한국 차 문화의 융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소의 소장 박동춘은 제다와 차 이론을 겸비한 전문연구자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대중들의 차 문화 인식 확장 및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박동춘 소장 제다 준비과정박동춘 소장 제다 준비과정
박동춘 소장님이 응송스님께 받은 전다게박동춘 소장이 응송스님께 받은 전다게
1980년 ~ 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대광사지 야생차밭에서 매년 제다 실시
1985년: 응송스님으로부터 박동춘 소장이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음
2001년: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설립
2017년 3월: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창립총회 개최
2017년 4월: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사단법인 허가

연구소 목표

  • 한국 차 문화의 기초자료 조사 및 학술연구를 통해 한국 차 문화 ·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아울러 동아시아 차 문화와 연계한 연구를 통하여 차 문화 · 산업 영역 확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 한국 차 문화의 중흥조인 초의로부터 범해→원응→응송→박동춘으로 이어진 한국 전통 제다법製茶法을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와 실천에 의해 정립된 한국 전통 제다법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제다 전문인 양성을 하고, 이를 통해 농촌의 유휴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
  • 현대인의 육체적 건강 및 정신적 치유에 도움을 주는 차 문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음악 · 미술 등 예술 분야와 연계하여 새로운 차 문화 · 산업 콘텐츠 개발에 주력한다.

연구소 활동내역

1986년~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대광사지 야생차밭에서 매년 제다 실시
녹차잎
2023
5월
종로문화재단,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천년을 이어온 우리차 연고백차전>
2022
4월
주최 쌍계사, 주관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쌍계사 명전희>
2021
11월
국립 광주 박물관 전시 고려음(高麗飮), 재현한 연고백차에 대한 영상물 제작
2019
10-11월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 주최, 한국문화재재단‧(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주관 <고궁다담> 강연 및 차 시연(창덕궁 낙선재, 창경궁 통명전)
6월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주최 <봄날의 다회>
5월
통의동 보안여관 주최 <[호랑이의 도약]대담 프로그램 : 고려다관 복원에 숨겨진 이야기> 강연
4월
한중일 3국 협력국 사무소 주최 <차(茶)·화(花)·금(琴)·향(香) - 동아시아의 삶과 멋> 연계 행사로 한중일 차 문화 소개
2월
한중일 3국 협력국 사무소 주최 <동아시아 현대건축과 로코스 디자인 포럼> 연계 행사로 한중일 차 문화 소개
국립중앙박물관 주최 학술강연회 :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시 연계하여 ‘고려시대 제다와 탕법’을 주제로 고려시대 차 문화 소개
2018
11월
(사)부산차문화진흥회 주최 제14회 부산국제차문화제 <아름다운 차 문화, 고려시대를 만나다> 전시 개최
8월
한중일 3국 협력국 사무소 주최 <삼국일칠: 한중일 옻칠예술> 연계 행사로 한중일 차 문화 소개
7월
국립중앙박물관 주관·주최 <고려시대 단차의 특성> 강연 (후원: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
6월
한중일 3국 협력국 사무소 주최 <한일중 올림픽로드 사진전 및 토크콘서트> 연계 행사로 한중일 차 문화 소개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주최 <제1회 봄날의 다회>
2017
11월
(사)부산차문화진흥원 주최,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주관〈초의선사에게 차를 묻다〉 전시
6월
고려대학교 개최 AAS-in-ASIA 컨퍼런스에 참여 (행사명- Tea Ceremony (AAS-in-ASIA CONFERENCE Event)
한일중 공무원 3국 협력 워크숍에 참여 및 강연
3월
한중일 3국협력국 사무소 주최 〈3국의 차문화 교류〉에 한국대표로 참가
2016
12월
문화재청 주최 〈製茶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 학술대회〉 참여 및 발표
11월
예술의 전당 〈초의선사 열반 150주년 기념: 초의선사-바라밀 다 展〉 작품 대여 및 참여
3월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소나무 인문사전』 연구용역 참여
2015
11월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주최 〈응송 박영희 스님 추모 학술 세미나〉
10월
서울정원박람회 전시행사 참여
6월
국립국악원 주최 〈풍류사랑방- 토요정담 ‘차와 벗하는 삶’〉참여 및 강연
2014
11월
〈21세기 전통 차 진흥을 위한 대토론회: 전통 차 문화의 의미와 전망〉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과 공동주최
10월
문화재청 주최 〈정관헌에서 명사와 함께-차 문화, 그 속에 아름다운 이야기〉 강연
6월
경기도박물관 주최 〈차, 즐거움을 마시다〉 자문 및 강연